0%
Tableau and prediction algorithm
- 태블로는 스토리텔링에는 굉장히 의미있고 효과적인 도구이나 예측 알고리즘 등에는 적절하지 못하나 예측은 추세 등의 간단한 기법을 활용해서 가능함
Things to know about Tableau
- 필터 (Filtering)
- 태블로의 본질과 맞닿아 있는 기능 (with 필터 액션)
- 스토리텔링이 가능하게 함
- order of operations(태블로 개발자와 유저간의 약속)의 핵심 요소 (significant part of tableau)
- 차원필터(Dimensional filter):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필터, 테이블(차원) 값의 필터
- 단일값 = 하나의 값만 선택, 다중값 = 여러개의 선택지를 제공
- 측정값 필터: 통계표시 없으면 데이터 원본에서의 해당 데이터값은 아예 버리는 것 (한 행의 level에서 필터링), 통계표시 (집계 표시)가 있으면 제품의 측정값의 집계 방식으로 필터링
- 일반 탭: 원하는 값 선택, 와일드카드, 조건, 상위(정확한 기준을 제시, 이후에도 계속 조건이 유지됨.) 로직을 의미
- independent filter: 서로 영향을 주지 않음. 차원 필터(분류)가 Top N(우선순위가 높은 필터)의 종속 필터이므로 ontext filter를 먼저 설정해줘야함.
- dimensional filter가 context filter로 올려줄 수 있는가.. (예. 지역을 컨텍스트로 설정)
- manually hidden filter: 숨기기 기능을 통해 전월대비 증감율 비율 표현이 가능함. 그러나 이후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어려움.
- Table Calculation: LAST()라는 함수를 사용하면 테이블이 자동으로 필터링되어서 계산됨.
- 이중축 (Double axis) & 결합축 (Combined axis)
- 한 행이나 열에 측정값이 두 개인 경우 (축이 두 개가 생성, 왼/오른쪽 혹은 그래프가 두 개가 생성)
- 원하는 데이터를 드래그해서 구현된 그래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가져다 두면 두 개의 축이 양쪽에서 생성되어 자동으로 그래프를 표현
- 축의 스케일은 축 동기화로 기준 맞추어줄 수 있음
- 막대 크기를 조절해서 bar in bar 구현 가능하거나 축이 여러 개를 구현해줄 때 사용
- 마크카드가 따로따로 되어있는 이중축은 자유도가 높음 (개별 설정이 가능함.) 그러나 결합축인 경우 별도로 구현하기 어려움… 그러나 여러 가지 그래프를 한 번에 표현이 가능함.
- 비율이나 금액 등 단위가 다른 경우 결합축의 이중축으로 구현 혹은 별도로 각각 표현을 해야함.
- 도넛차트(Donut Chart)
- 파이차트에서 시작하며 두 개의 파이차트를 작업용, 유지용 두 개 생성
- 더미 필드에서 화면을 분할 생성해서 복사 = ctrl 키 누르면서 옆으로 드래그
- 작업용 필드에서 각도 부분 제거 및 세부정보등 변경 후 크기 조절하고 이중축으로 결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