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ableau pt.3

TABLEAU

Dashboard

  • 제목을 텍스트 컨테이너로 작성하면 일부 공간을 차지하여 작성됨.
  • 데이터를 집계해서 전체 정보를 요약해서 보여주므로 전체 현황을 보여주는 데 특화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사항에 있어서는 약점이 있을 수 있음.
  • 필터 액션: 깔때기 표시를 누르면 해당년도 등 기준에 따른 내용을 자세하게 보여줌. 필터 동작에서도 설정 가능함.

Scatter plot & Histogram & Boxplot

  • 산점도: 2개의 측정값의 관계 (correlation)를 나타내는 차트
  • 측정값 두 개를 같이 올리게 되면 각 측정값의 한 개만 나오게 됨. (총 합계)
  • 회귀선의 기울기: x축이 한 unit 증가할 때 y축의 증감량

  • 측정값의 분포를 살펴볼 때 박스플롯 사용

  • 해당 측정값의 구간차원을 생성하여 막대그래프 형성되며 불연속형 데이터로 자동 생성됨. 불연속형 데이터를 연속형으로 만들면 히스토그램으로 만들 수 있음

Map (Geographic graph)

  • GIS: geographical info system
  • Geospatial info on a map
  • AcrGIS, QGIS 툴도 사용…
  • BI (Business Intelligence): 태블로와 같은 도구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.
  • 지리 경계 정보는 어디에서 가져올 것인가… 만약 지역 명칭만 정확하게 가지고 있다면 태블로에서 빌려와서 사용이 가능함.
    단, 읍면동 단위와 같은 자세한 지역명칭의 경우 개인이 직접 가져와야 함.
  • 텍스트 (혹은 문자열 데이터): 공간적 의미를 가지는 텍스트이나 지리적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지도 상에 위치 등을 표시할 수 있음
    e.g. 강원도(Kang-won), 경기도(Kyung-ki), …
  • 풀네임으로 되어있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에도 지리적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지도 인식이 가능함. 공식 지역명칭이 아닌 경우 (호남, 영남.. 등) 만들기 탭의 해당 원본 데이터를 기준으로 지리적 역할 부여해주어서 생성 가능함.
  • County or City would be duplicated, so no mark on a map, unless it is uploaded with the states.
  • If geographical data has both longtitude and latitude information, it could be represented on a map, but before you should change the string type of data into float (real number) type.